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, 정치부 이세진 기자 나와있습니다. <br> <br>Q1. 설 민심이 중요한데, 여론조사들이 쏟아졌어요. 정확한 민심이 어때요? <br><br>최근 나온 여론조사는 ARS 조사가 아니라 전화면접 조사라, 응답율이 20% 안팎까지 올라갑니다.<br><br>정확도가 꽤 올라간 조사인데, 뚜렷한 경향이 보입니다. <br> <br>선거 때를 방불케 하는 지지층 결집인데요. <br> <br>최근 조사를 종합해보면 공통적으로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정당지지율이 그야말로 박빙입니다. <br><br>계엄, 탄핵, 대통령 구속을 거치면서 양측 지지층이 선거 때처럼 결집하고 있습니다. <br><br>Q2. 이 정도면 여당은 일단 성공인가요? <br><br>그래도 조기 대선 때 한번 승부를 걸어볼만한 체력을 갖췄다는 안도감은 보이고 있습니다. <br><br>무기력했던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 여론 지형과는 완전히 다르다고요. <br><br>그 비결로는 무너지지 않고 버틴 대통령의 개인기와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 대한 비호감 여론의 결합을 꼽더라고요. <br><br>하지만, 한계도 분명합니다. <br> <br>당 지지율을 비롯해 대통령 탄핵 찬반, 내란죄 해당 여부 등을 물으면 여러 조사 대체로 4대 6 구도가 뚜렷합니다. <br><br>대통령과 국민의힘이 40%까지는 여론을 끌어올렸지만, 그 이상 다수 여론을 형성하진 못하고 있고, 그게 정체 국면입니다. <br> <br>Q3. 대선 주자들 여론 흐름은 어때요? <br><br>그 부분은 여야 모두 고민 지점인데요. <br><br>다자대결 조사 흐름은 여론조사 모두 비슷합니다. <br><br>이재명 대표가 35% 정도로 1등, 여권에선 김문수 장관이 15% 안팎, 오세훈 홍준표 시장, 한동훈 전 대표가 5~10% 사이를 왔다갔다 합니다.<br><br>여권으로서는 누구도 치고 올라가질 못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양자대결 보면 고민이 깊어지는데요. <br> <br>오세훈 홍준표 김문수 누굴 넣어도 이 대표를 앞서지 못하죠. <br><br>다른 조사를 보면, 이 대표도 떨어지지만, 여권 잠룡 모두 20% 후반까지 추세가 비슷합니다. <br><br>대통령이 끌어올려놓은 40%안팎 당 지지율에서 플러스 알파를 더해, 이재명 대표를 넘어설 경쟁력을 갖춘 후보가 안보이는 거죠. <br> <br>Q4. 야당은 일단 이재명 대표 우위는 확인했는데, 썩 분위기가 좋지 않은 것 같아요. <br><br>맞습니다. <br><br>설 민심이 예상만큼 올라오질 못하고 있습니다. <br><br>먼저 정권교체 여론이 기대만큼 불붙질 않고 있습니다. <br><br>정권재창출과 정권 교체 여론이 대체로 4대 5 구도입니다. <br><br>교체가 약간 앞서는 정도인데, 심지어는 45%대 44%로 박빙도 나옵니다. <br><br>계엄 이후 대통령이 구속까지 됐는데, 정권교체를 압도하지 못하고 있죠. <br><br>이재명 대표의 '박스권' 지지율도 여전합니다. <br><br>다자구도에서 이 대표는 30%대 박스권에 갇혀 있고요. 보시면 35~36% 거의 똑같죠. <br><br>양자대결 붙어도 40%대 박스권, 50%를 넘어가질 않습니다. <br><br>다른 조사에서도 우위는 보이지만 30%대 후반 지지율에서 왔다갔다 하고요. <br><br>Q5. 설 민심 흐름은 나온 것 같아요. 어떻게 한대요? <br><br>오늘 보면 양쪽 모두 상대 네거티브에 나섰습니다.<br><br>이재명 대표는 국민의힘을 독재, 반동세력으로 국민의힘은 이 대표 사법리스크와 여론 검열을 문제삼았는데요. <br><br>일단 설 연휴까지 위기감을 조성하는 지지층 결집에 최대한 집중할 걸로 보입니다. <br><br>지금까지, 아는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이세진 기자 jinlee@ichannela.com